학습파워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무기를 가진 사람은 항상 끊임없이 노력하면서 살아간다. 그 무기는 열정과 끈기다.
나를 두렵게 만드는 사람은 항상 무언가에 도전하는 사람이다. 그리고 실패에 쉽사리 좌절하지 않고 계속 시도하는 사람이 될 것이다. 나는 그로 인해 자극을 받고 더욱 힘을 내는지도 모른다. 나 자신을 감당할 수 없는 순간도 무섭기는 마찬가지다. 그러나 나의 몸과 마음을 항상 긴장상태에 놓이게 하여 현실에 안주하지 않도록 자극하는 사람들이 있는 한, 나의 도전은 멈추지 않을 것이다. 내가 그들을 유심히 지켜본 결과, 항상 배움에 목말라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나는 그들이 무엇을 배우려고 하는지에 대하여 궁금해하지 않았다. 다만 그들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 그 방법과 원리가 무엇인지 내심 궁금해진다.
투자는 확률에 의존하겠다는 다짐보다는, 반드시 내 것으로 만들겠다는 의지가 최고의 투자가치를 만들어내는 법이다.
나는 학창시절에는 공부에 흥미가 없었던 평범한 학생이었다. 공부하는 방법을 몰라서 제대로 집중할 수 없었다. 그러다 정신이 번쩍 들고 나서야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절실히 깨달았다. 그래서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 과감히 입학원서를 냈다. 나에게 학교가 보여준 첫인상은 독학의 신들이 다니는 끔찍한 세계였다. 스스로 해보겠다는 다짐 없이는 제대로 된 학점을 취득할 수 없었던 것이다. 그래서 중도하차하는 사람이 많았다. 한 학기가 지나고 새 학기가 시작될 때마다 학생 수는 조금씩 줄어들었다. 저마다 사연이 있겠으나, 근본적인 문제점은 '공부하는 법'을 몰라서 자포자기했다는 생각이 든다.
배움에도 밀물과 썰물이 찾아온다. 배움에 정체기가 찾아오면 과감히 쉬어가는 것이 현명하다.
《학습 파워》는 공부의 신이 되는 법을 알려주지는 않는다. 그럼에도 책이 인상적이었던 이유는 배움의 본질에 대하여 알려주고 있다는 점이다. 저자는 "주식에 투자하지 말고 지식에 투자하라."고 말한다. 평생교육의 시대가 열렸건만, 아직도 시대에 흡수되지 못하고 겉도는 사람이 많다. 배우기는 하되, 제대로 배우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제 배움의 기회는 넘쳐나고 있으니, 우리는 그 기회를 어떻게 활용하여 지식을 습득할 것이며, 그로 인해 습득한 지식을 어떻게 다듬을 것인가에 주력해야 한다.
"학습의 힘은 학습을 통해서 습득한 지식의 양에서 나오지 않고 터득하고 깨달은 지혜의 힘에서 나온다. 그리고 그 힘은 나를 둘러싸고 있는 무수히 많은 환경과 사람들 간에 주고받은 지식의 결과로 이루어진 관계성의 산물이다. 그러므로 자신이 무엇인가를 학습했다는 것은 학습과정에서 자신에게 많은 것을 보여주고 다양한 통찰력을 제공해준 수많은 사람들 덕분에 지혜를 터득했다는 뜻이 된다. 그래서 학습을 하면 할수록 겸손해지는 것이다."(p.63)
끊임없이 학습하는 자가 미래사회의 주인공이 된다. 배움의 근본적인 목표부터 다시 점검하라.
생존을 위한 학습, 행복을 위한 학습은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 학생을 위한 학습, 성인을 위한 학습도 마찬가지다. 배운다는 그 자체만으로도 모든 학습은 일맥상통한다. 우리는 무언가를 배웠다는 것을 끝이라고 생각해서는 안 될 것이다. 그것은 새로운 학습을 향한 시작에 불과하다. 《학습 파워》는 학습의 본질을 꿰뚫는다면 그것이 곧 미래사회의 경쟁력이 될 것이라고 말한다.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시대는 이미 옛날이야기가 되어버렸다. 현존하는 지식에 자신만의 지식을 응용하여 독창적인 지적 재산을 만들어야 하는 시대가 열린 것이다. 이 책을 통해서 나의 학습태도에 대하여 점검하는 시간을 가질 필요성을 느꼈다. 나의 학업과 독서 그리고 글쓰기를 비롯한 모든 것에 대한 학습 가치관에 대해서 말이다.
'서령의 서재 > 서령의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별 볼 일 없는 인생 입문> : 잉여청춘을 위한 심리 테라피 (0) | 2012.03.21 |
---|---|
<무삭제 심리학> : 당신의 NG 장면에 숨겨진 진실과 대면하라 (0) | 2012.03.21 |
<해에게서 사람에게> : 작가들이 전하는 소박한 편지 이야기 (0) | 2012.03.19 |
<나는 매일 은퇴를 꿈꾼다> : 인생은 후반전부터 시작된다 (0) | 2012.03.19 |
<나는 더이상 당신의 가족이 아니다> : 나와 가족, 관계를 재정립하다 (0) | 2012.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