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34년, 지본수묵담채, 130.7㎝ x 94.1㎝ ,국보 217호 <호암미술관>
<금강전도>는 관념 산수의 틀을 벗어버리고, 우리 나라의 산천을
소재로 하여 독창적이고 개성적인 표현 기법으로 그렸다는 점에서
한국 산수화의 신기원을 이룬 걸작이라 할 수 있다.
그림 윗부분에는 비로봉이 우뚝 서 있고
거기서 화면의 중심인 만폭동을 지나 아랫부분 끝에는
장안사의 비홍교가 보인다.
왼쪽으로는 송림이 우거진 푸른 산을 설정하고
오른쪽으로는 골격만 드러낸 금강산들이 장관을 이루고 있다.
土山과 암봉의 이런 강력한 대비효과는 종으로 된 화면구성으로
인하여 보다 집약된 박진감을 보여준다.
송림을 표현한 짙은 미점은 근경에서는 촘촘하던 것이
원경에 이를수록 점점 작아지고 또 드물어지면서
비로봉 가까이 가서는 완전히 사라져 버려
금강산 상봉의 준수하고 신성한 기품을 살려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