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화의 세계/공재 윤두서

윤두서 자화상

글쓰는서령 2010. 7. 16. 22:59

 

 

 

한국 최고의 초상화로 평가받는 불후의 명작

‘윤두서(1668∼1716)의 자화상(18세기초·국보240호)’.

이 그림은 매우 특이하다.

부리부리한 눈매, 거울을 보고 그린 듯 한올 한올 사실적이면서 불타오르는 수염.

넘치는 생동감과 파격적인 생략은 보는 이를 섬뜩한 공포로 몰아넣는다.

더욱 충격적인 것은 있어야 할 두 귀, 목과 상체가 없다는 점.

탕건 윗부분이 잘려나간 채 화폭 위쪽에 매달린 얼굴이 매섭게 노려보고 있다.

대체 이런 그림이 어떻게 나온 것인가.

윤두서가 일부러 그렇게 그린 것일까. 아니면 그의 실수 또는 그리다 만 미완성작일까.

그것도 아니라면 누군가가 조작한 것은 아닌지.

결론부터 말하면 안목 없는 후대의 어처구니 없는 실수 탓.

하지만 실수든 파격이든 그것이 작품의 예술성을 떨어뜨리지는 못한다.

이 그림은 조선시대의 유교윤리나 보편적 미감(美感)에서 벗어나 있다.

사대부가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신체 일부를 떼낸 채 그림을 그린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더구나 윤두서는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를

지은 윤선도의 증손자이자

실학자인 정약용의 외할아버지이기에 더욱 그러하다.

 

'동양화의 세계 > 공재 윤두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초세수  (0) 2010.07.19
돌 깨는 석공  (0) 2010.07.16
유하백마도  (0) 2010.07.16
마상처사도  (0) 2010.07.16
동국여지지도  (0) 2010.07.16